반응형
안녕하세요? 최근 들어 미국 주식 시장에서는 개인들의 옵션 거래 금액이 엄청나게 증가했다는 뉴스가 얼마 전에 들렸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선물과 옵션 거래에 대한 개념에 대해 정리하려고 합니다. 참고로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을 흔히 네 마녀의 날(쿼드러플 위칭데이)이라고 부르는데, 왜 선물옵션 만기일에는 주가의 변동성이 커지는 지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물 거래
- 미래의 상황이 불확실할 경우, 현재 시점에 미래 거래 가격을 계약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로든 아래로든 가격에 변동성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 상품이나 자산에 대해 선물 거래가 많이 이뤄지게 됩니다.
- 가장 흔한 선물 거래의 예가 원유나 농수산물이 되겠습니다. 또 주가 지수나 개별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 거래도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볼까요? 6개월 후에 구글 주식을 1주당 3,000달러에 매수하기로 약속했다고 합시다. 이를 선물 계약이라고 합니다. 6개월 후에 실제로 주가각 1주당 3,200달러가 되었다면, 매수자는 주당 200달러의 이익이 발생하고, 매도자는 주당 200달러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 선물 거래는 만기 시점이 있으므로, 현물 주식과 같이 영원히 홀딩할 수 없고 만기일에 결제가 일어나서 기초자산의 가격과 내가 정한 포지션의 차액을 정산해야만 합니다. 일반적인 주식 거래와는 달리, 일부 증거금만으로도 거래각 가능하기 때문에 엄청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보통 8%의 증거금만으로도 거래가 가능합니다.
옵션 거래
- 미래의 특정 시점과 가격에 매수 또는 매도를 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 매수할 수 있는 권리는 콜옵션이라고 하고, 매도할 수 있는 권리는 풋옵션이라고 합니다.
- 선물 거래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프리미엄(돈)을 주고 이러한 권리를 매입한 사람은 상황에 따라 권리 행사를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포기) 있습니다. 선물처럼 반드시 약속을 이행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 옵션의 포지션은 콜옵션 매수, 콜옵션 매도, 풋옵션 매수, 풋옵션 매도의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헷갈릴 수 있지만 옵션은 매수자의 입장에서만 보면 편합니다. 매수자가 권리를 사는 것이므로, 매도자는 매수자의 권리 실행 여부에 종속된다고 보면 됩니다.
선물이나 옵션 거래를 하는 이유는
- 일반적인 현물 주식 거래는 주가가 상승할 때만 차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물론 공매도는 그 반대가 가능하지만 개인들은 제약이 많이 있습니다.
- 선물이나 옵션은 주가가 하락할 때도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가장 중요한 점은 일부 증거금만으로도 거래가 가능하여 엄청난 레버리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선물옵션 만기일에는 주가 변동성이 왜 커질까
- 선물 옵션의 매수, 매도자는 증거금만을 납부한 상태에서 만기일이 되면 실제 게약 규모에 따라서 해당 금액과 기초 자산을 교환해야만 합니다. 다시 말하면 만기일에는 실물을 사거나 파는 계약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그 게약 규모가 작지 않기 때문에 변동성이 커지게 됩니다.
개인들은 가능하면 선물 옵션 거래는 하지 않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특히 하방에 배팅하는 것은 손해가 무한대입니다.
오늘은 선물과 옵션 거래에 대한 개념 정리를 해드렸습니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ger 미국테크top10 ARKK FANG MAFAA ETF 개인연금 추천 (0) | 2021.04.29 |
---|---|
DGRW ETF 주가DGRO 월배당 (0) | 2021.04.29 |
중국 주식 투자 추천 ETF KWEB CWEB 차이나 항생테크 캐시우드 (0) | 2021.04.26 |
빅히트 하이브 주가 Hybe 방탄 위버스 (0) | 2021.04.25 |
4월 공모주 일정 청약방법, 분리막 세계 1등 SKIET (0) | 2021.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