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배송 업체로 유명한 마켓컬리(Market Kurly)의 국내 주식 시장 상장 뉴스가 나왔습니다. 신선 식품 새벽 배송계의 원조 업체로 유명한 마켓컬리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나스닥 상장을 노린다는 기사가 있었지만 국내 기업공개(IPO)를 선택했습니다. 사실 경쟁업체인 쿠팡이 올해 나스닥 시장에 성공적으로 상장한 이후 마켓컬리를 비롯하여 국내의 유명한 유니콘 기업들이 국내 시장보다는 자금 융통 규모가 더 큰 미국 시장을 노린다는 기사들이 한창 쏟아졌었습니다.
나스닥 상장 무산
아까 말씀드렸듯이 마켓컬리가 처음에는 나스닥 상장을 목표로 한다는 기사가 많았습니다. 그럼 왜 나스닥 상장을 포기했을까요? 아마도 비용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나스닥 시장 상장 추진을 위해서 금융회사에 지불하는 수수료가 국내 대비해서 약 2~3배 정도 비쌉니다. 거기에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해야 하는 서류도 매우 까다로워서 회계법인의 자문이 필요한데 이 또한 비용이 만만찮습니다.
다만 나스닥에 상장만 가능하다면 한국보다 재무적 요건에 있어서 상장 규제가 덜하고, 차등의결권 또한 있어서 기업가 입장에서는 매우 매력적입니다. 또한 자금 융통 규모 자체가 국내와는 차원이 다르기 때문에 더 여유 있게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켓컬리 기업공개(IPO)
1) 주관사 :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JP모건
2) 상장 일정 : 내년 상반기 예상
3) 희망 기업가치(시가총액) : 5~7조 원
4) 누적 가입자수 : 900만 명
5) 올해 거래액 규모 : 약 2조 원 (쇼핑 사이트는 거래액 규모가 중요)
6) 2020년 기준 매출액 : 9530억 (전년 대비 123% 증가한 금액)
마켓컬리의 희망 기업가치가 약 5~7조 원 수준인데, 현재의 매출액과 이익 규모로는 상당히 큰 수준입니다. 하지만 플랫폼과 e-커머스 기업으로서의 가치평가는 전통적인 밸류에이션보다 거래금액이나 월간 활성화 이용자 수를 기반으로 경쟁사와 비교하여 가치가 매겨지는 것이 보통입니다. 현재 10월 말 기준으로 쿠팡이 나스닥에서 시가총액 약 50조 원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상당한 규모입니다.
마켓컬리는 현재 비상장이지만 장외거래를 통해 비상장 주식을 매수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서울 거래 비상장 사이트에서 확인해보면 주당 가격이 78,000원 수준으로 시가총액으로 보면 약 2.4조 수준입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거래할 수 있습니다.
https://www.seoulexchange.kr/stock/kurly/sell-orders/
컬리 비상장 정보 및 주식 거래 | 서울거래 비상장
컬리 비상장 주식 정보 제공, 매수, 매도 및 컬리 분석, 상장 일정, 상장 뉴스 및 전망을 제공합니다.
www.seoulexchange.kr
마켓컬리 관련주
아까 말씀드린 쿠팡은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되어 현재 거래중입니다. 국내에서는 SSG닷컴이 최근 이베이코리아를 인수했는데, 이를 통해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정확한 일정은 아직 안나왔지만 내년을 목표로 진행중이라고 합니다. SSG닷컴은 2020년 기준 거래액이 약 3.9조원 규모입니다.
추가적으로 요즘 새벽배송 업체로 유명한 오아시스마켓이 내년을 목표로 상장 준비 중에 있습니다. 오아시스마켓은 기업가치는 아직 높지 않지만 신선 유기농 제품이라는 차별적인 마켓팅을 통해 성장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최근 상장주관사로부터 약 100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였습니다.
내년 상반기 마켓컬리의 국내 주식 시장 상장을 함께 지켜보시죠.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위드코로나 관련주 수혜주, 원격의료와 블록체인
정부는 백신 접종률이 계속해서 올라감에 따라 조만간 '위드코로나' 세상을 선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인플레로 인해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그동안 상승을 이끌었던
penillion.tistory.com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미크론 바이러스 관련주 수혜주 (0) | 2021.11.28 |
---|---|
12월 공모주 일정, 래몽래인 (0) | 2021.11.24 |
위드코로나 관련주 수혜주, 원격의료와 블록체인 (0) | 2021.10.03 |
퇴직연금 수령방법 세금 시기 IRP ETF투자 (0) | 2021.10.02 |
퇴직연금 DC형 운용 투자 추천 ETF (0) | 2021.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