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퇴직연금 수령방법 세금 시기 IRP ETF투자

반응형

정년이 되고 퇴직금을 수령해야 할 때 일시금으로 받는 게 좋을지 아니면 연금 형태로 받는 게 좋을지 누구나 한 번쯤은 고민을 해봤을 것입니다. 물론 정답은 없습니다. 왜냐하면 각자 사람마다 처한 상황이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실제 퇴직자들은 일시금과 연금 중에 일시금을 선택한 사람이 많았습니다.

 

2020년에 만 55세 이상 퇴직연금 수급을 개시한 계좌가 약 37만좌인데, 이 중에서 96.7%가 일시금을 선택했습니다. 나머지 3.3%만이 연금 형태로 수령하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대다수가 아직은 일시금 수령을 선택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금액을 기준으로 보면 총 적립금 중 약 28%가 연금으로 지급되고 있습니다. 이는 적립금이 적은 사람은 일시금을 선택하고, 적립금이 많은 사람은 연금을 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퇴직연금 수령 방법과 퇴직소득세

 

연금 수령에 따른 세제 혜택이 고액계좌에 더 많이 돌아가기 때문에 고액 수령자들은 연금을 선택합니다. 퇴직소득세는 퇴직급여의 크기와 근로기간 두 가지로 결정됩니다. 퇴직급여의 크기가 클수록, 근로기간은 짧을수록 세금을 더 냅니다. 근로기간은 입사일로부터 퇴직일까지인데, 재직 중에 퇴직금을 중간 정산했다면 중간정산을 받은 다음 날로부터 계산됩니다. 

 

한 직장에서 20년을 근무하고 중간정산 없이 퇴직 급여로 1억을 받았을 때는 295만원, 2억이면 1049만 원, 3억이면 2490만 원, 4억 이만 4413만 원, 5억이면 6530만 원을 퇴직소득세로 납부해야 합니다. 반대로 어떤 퇴직자가 2억 원을 퇴직급여로 수령했는데 근로기간이 5년이면 3691만 원, 10년이면 2249만 원, 20년이면 1049만 원, 30년이면 733만 원의 퇴직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근로기간이 길면 근속연수 공제 등 세제 혜택이 부여됩니다.

 

퇴직소득세 계산
퇴직소득세 계산

 

만약에 퇴직급여를 연금으로 받으면 퇴직소득세를 30~40% 정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퇴직소득세가 큰 사람은 연금을 선택하면 할 수록 실제 세액 부담은 줄어들게 됩니다. 

 

연금수령 시 퇴직소득세 계산

 

실제 예를 들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퇴직급여가 2억인데 근로기간이 약 10년으로 일시금 수령시 퇴직소득세가 약 2000만 원인 사람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이 경우 퇴직소득세율 10%입니다)

 

이 사람이 만약 퇴직급여를 IRP에 이체하고 연금으로 수령하면, 우선 퇴직급여를 IRP 계좌로 이체할 때는 세금을 원천징수하지 않습니다. IRP에 이체된 퇴직급여를 인출할 때마다 세금이 부과됩니다. IRP에 이체한 퇴직급여는 55세 이후에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IRP에 이체한 2억을 매년 2000만 원씩 연금으로 수령한다고 하면, 10년 차까지는 퇴직소득세율의 70%에 해당하는 연금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즉, 퇴직소득세율이 10%이기 때문에 매년 연금수령액의 7%를 연금소득세로 납부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총 600만 원(2000만 원-1400만 원)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연금수령기간이 10년 이상이라면 퇴직소득세를 더 아낄 수 있습니다. 연금 수령 연차가 10년 이내이면 퇴직소득세율의 70%에 해당하는 연금소득세율을 적용하지만, 11년차부터는 60%를 적용합니다. 

 

 

IRP 계좌 관리와 ETF 투자

 

퇴직급여를 IRP계좌에 이체했다면, 어디에 투자할지도 고려해봐야 합니다. 퇴직급여가 크면 클수록 이체한 자금을 어떻게 굴릴지도 매우 중요합니다. 요즘 같은 초저금리 시대에는 퇴직급여를 모두 예금과 같은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 넣기보다는 투자 상품에 적절히 배분해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ETF 투자를 추천합니다. 국내주식시장에 상장된 ETF는 투자할 수 있는데 다만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는 매수할 수 없습니다. 다만 위험자산으로 분류된 자산에는 총적립금의 70%까지만 투자할 수 있습니다. 위험자산은 주식 비중이 40%를 넘어가는 것을 말합니다. ETF는 채권형 ETF도 있기 때문에 적절히 배분해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해외지수 특히 미국 주식시장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는 것을 권합니다. 미국 주식 시장은 꾸준히 우상향을 해왔고, 현재도 빅테크 기업을 필두로 혁신적인 기업이 몰려있는 가장 선진화된 시장이기 때문입니다. 

 

 

☆ 아래 글은 위 글과 연관되어 있으니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퇴직연금 DC형 운용 투자 추천 ETF

퇴직연금제도에 잘 알고 계신가요? 흔히 3종 연금이라 함은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을 말하는데 그중 퇴직연금에 대해서는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냥 퇴직금 주는 거 아

penillion.tistory.com

반응형